카테고리 없음

[인생 전략] 2030 주거 전략 #1. 아파트 매매

BULLMAN 2021. 10. 13. 19:19

현재 대한민국의 주거 형태는 크게 매매와 전세, 그리고 월세가 있다. 매매의 경우 많은 돈이 필요하며 사회초년생인 2030이 쉽게 접근하기 힘들다고 생각한다. 현재 서울 아파트 중위가격은 10억 6,000만원 이며 경기도도 5억7,412만원 이다. 물론 이보다 싼 가격의 집들이 있겠지만 매매의 경우 목돈이 묶이기 때문에 주거 목적과 함께 투자가치도 고려해야 한다. 그렇기 때문에 적어도 해당 지역의 중위가격 이상의 집은 사야 부동산 상승기에 뒤처지지 않고, 하락기에 폭락하지 않는다고 생각한다. 너무 저렴한 부동산에 투자하면 상승기의 상승폭은 제일 적고 하락기에는 매매 자체가 안될 수도 있다. 그리고 빌라나 오피스텔보다 사람들이 선호하는 아파트를 선택하는 것이 투자가치가 높다. 자금에 여유가 있으면, 일자리가 많고 학군이 좋으며 교통이 좋은 곳의 집을 매매하는 것이 향후 투자가치와 거주만족도 측면에서 유리할 것이다. 하지만 사회초년생에게 현실적으로 불가능하다.

 

 

그렇기 때문에 대부분의 사회초년생들은 매매는 생각조차 못 하고 원룸이나 오피스텔 전세와 월세 중 고민을 할 것이다. 시세 차익과 거주 안정성이라는 장점에도 불구하고 주변 친구들이나 직장 동료들은 대부분 아파트 매매가 아닌 원룸, 오피스텔에 전세로 거주하고 있다.